글 수 2,258
안녕하세요..
종종 이용하는 동네 주민입니다.
주변에 빈가게를 추천하고 싶은데 이렇게 생각하다 보니
식자재에 대해서 좀 정확하게 알고 추천하려고 문의 글을 남깁니다.
1. 가급적 생협물품과 유기농산물, 국산재료를 사용하시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,
그 중에 수입식자재는 어떤 것을 사용하시는지 알고 싶습니다.
카레가루 같은것은 원재료를 국산으로는 쓰기 어려울텐데요,
구체적으로 어디 제품을 쓰시느지 궁금합니다.
2. 떡볶이에 들어가는 떡은 유기재배 쌀을 원료로 한 것인가요?
고추장은 어떤 것을 쓰시고, 기타 채소는 어디서 구입을 하시는지요?
3. 기본적으로 채식인 메뉴와, 채식으로 조리를 요청하면 채식이 가능한 메뉴,
두가지를 구분해서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.
질문이 이것저것 많네요.. 답변 기다리겠습니당.
해방촌 빈집 / 빈마을
음, 이게, 현재 누구 한 명이 딱 대답을 해 줄 수 있는 문제가 아니어서 답글이 달리지 않는 것 같아요^-^;
지금 가게는 여러 사람들이 돌아가며 보고 있고, 기존에 주로 재료 관리를 하던 친구랑 현재 돌아가며 재료 관리를 하는 사람들 방식은 조금 다를 수 있거든요.
지금은,
1번은 가능한 지키고 있고 말씀하신 카레는 일본식 고형 카레인데 재료 원산지는 제가 지금 파악이 안 되어서;;;
2번은 떡볶이가 완전히 기본 메뉴로 자리 잡지는 않아서 그때그때 재료를 수급하는 걸로 알고 있어요.
슈퍼나 채소가게에서 장을 볼 때, 빈가게 식구들이 원산지 표기나 원재료 표기를 확인하는 선에서 재료 구입이 이뤄지고 있지 않을까.. 생각합니다.
3번은 음, 일단 매일 팔고 있는 밥이나 카레, 생협에서 나온 채식 만두, 채식 라면-_-이 모두 채식인 걸로 알고 있고요, 때때로 하고 있는 버섯탕수나 채소 볶음, 떡볶이도 채식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 같아요. 채식인용 콩고기도 취급하고 있고...
매일 메뉴가 조금씩 달라지는 사정이다 보니, 가게를 방문하셔서 그날 가능한 요리와 그 요리에 들어가는 재료를 그때그때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확실한 것 같습니다.
저희는 모든 메뉴를 제안할 때, 가능한 채식의 범주를 지키고 있고, 가능한 국산 유기농 재료를 쓰지만, 지금 상황이 모든 식자재를 철저하게 정리해서 수급하고 있지는 못하거든요.
이게 참, 별로 도움이 안 되는 답인데-_-;;; 어쨌든 제가 드릴 수 있는 대답을 드리고 싶었어요. 하하하;;;
빈가게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^-^